github는 개인적으로 CVE를 발급,퍼블리시하기에 가장 좋은 CNA라고 생각한다.
github에 공개된 repo에 security.md가 활성화 되어 있다면, 아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활성화 안된 경우
Suggest a policy 를 진행한 후, 주인이 승인하면 아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보인다면, 이미 security.md가 활성화 된 것이다.
report a vulnerability 를 누르면 취약점 설명란이 나타난다.
취약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기술한 후 Submit report를 눌러서 마친다.
매우 빠른 시일내에 CVE publish 까지 진행된다.
( 대부분 1주일 이내, 빠르면 2일 이내 )
github profile에도 노출된다.
(개수가 엄청 늦게 업데이트되는 버그가 있다)
'0-day & 1-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g Bounty 받으면서 CVE 받기 (0) | 2024.01.28 |
---|---|
Apple 취약점 CVE request PROCESS (0) | 2024.01.27 |
non-CNA 제품 MITRE CVE PUBLISH PROCESS (0) | 2024.01.27 |
non-CNA 제품 MITRE CVE REQUEST PROCESS (0)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