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RAID] h/w raid card 02

by pwnhub 2024. 4. 29.

 시간이 너무 없어서 빠르게 진행했다.

저가 SSD 128gb를 2개 준비하였으며, power 이슈로 외부 서플라이를 활용하였다.

서플라이의 PS-ON과 GND를 쇼트시켜주면 서플라이는 메인보드 없이 ON상태가 된다.

 

우선 SATA SSD의 기본 속도를 측정해보았다.

Crystal Disk Mark로 측정했으며, 두 디스크 모두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이어서 아래와 같이 RAID CARD에 2개의 SSD를 연결하였다.

RAID CARD 의 BIOS에 password가 걸려있었고, c 언어로 brute force 코드를 작성해서 아두이노 키보드로 무차별 입력을 시도했으며, 모니터 출력을 영상처리하여 password error가 안나는 순간까지 대입 공격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RAID CARD의 password를 알아냈다. 0000이었다 ㅋㅋㅋ

첫번째로는 RAID 0로 선택하여 RAID를 구성하였다.

RAID 컨트롤러의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았고, 아래 사이트에서 드라이버를 설치해 주었다.

https://www.areca.us/support/downloads.html

 

Support & Downloads | Areca Technology

Component Type Product Select Model name Item Type Item Version Release Date Remark Item Version Release Date

www.areca.us

 

그 후 장치관리자에서 포맷을 진행해 주었으며, 정상적으로 인식되었다.

드라이버를 설치하였더니, RAID 관리 페이지가 네트워크로 접속되었으며, RAID카드에 존재하는 LAN 포트로 해당 관리페이지 접속이 가능하였다.

RAID 0를 설정하고 측정한 결과는 RAID 구성이 없었을 때 보다 훨씬 높게 측정되었다.

이어서 RAID 1로 구성해 보았으며, 구성 과정이 꽤 오래 걸렸다.

가용 공간은 50%로 줄어들었다.

성능은 RAID 구성이 없었을 때 보다 좋게 측정되었다.

 

성능 향상 폭을 보았을 때, RAID 구성이 유의미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수의 디스크를 활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글에서는 실제 workstation에 12TB DAS를 설치하는 글로 이어가겠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S] OPC UA 프로토콜 정리  (0) 2024.05.05
[RAID] h/w raid card 03  (0) 2024.04.29
[RAID] h/w raid card 01  (0) 2024.04.29
[학점을 챙기자]구글 설문지 파이썬으로 정리하기  (0) 2024.03.14
SVN 사용법  (0) 2024.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