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WORKSTATION 구축]뻘짓진행 - NAS, DAS, SAN 정리

pwnhub 2024. 1. 29. 05:18

Storage 에는 여러 형태가 존재한다.

1. NAS

Network Attatched Storag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USB와 같은 인터페이스보다는 넓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다.

NAS에서는 파일단위 입출력을 사용한다.

 

- NFS (Network File System)
- SMB/CIFS (Server Message Block/Common Internet File System)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AFP (Apple Filing Protocol)

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2. DAS

Direct Attatched Storage

서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서버에 따라 고유의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대역폭이 매우 넓은 편으로 빠른 속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호스트에 의존적이므로 호스트가 다운될 경우, 저장 공간에 액세스 할 수 없어진다.

 

3. SAN

Storage Area Network

SAN 전용 스위치를 통해 여러대의 스토리지 장비를 여러대의 서버가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이다.

전용 스위치로 인해 높은 비용구조가 발생하지만, 확장성이 좋으며 기본적으로 블록단위의 입출력을 사용한다.

 

*블록단위의 입출력이란,

NAS에서는 파일단위로 입출력, DAS에서는 블록단위로 입출력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블록단위 입출력이 레이턴시가 짧다.

 

- FC (Fibre Channel)
- FCIP (Fiber Channel over IP) : 분산된 FC-SAN들을 기존의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주는 터널링 프로토콜

- iSCSI (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s Interface)
- iSER (iSCSI Extensions for RDMA)

와 같은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DAS와 NAS 는 큰 '연결방식의 차이' 이고

SAN 은 NAS 의 연결방식에서 고성능을 위해 구축한 구성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ref : https://shareitplace.tistory.com/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