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STATION 구축]사전조사 - Intel Xeon CPU, Redundant Power 공부, 견적
업무 마치고 2cpu를 구경하던 중... 4cpu에 반하게 되어 24시간만에 서버를 구축한 썰
회사 업무 목적으로 나름 고가의 서버를 구매하게 되었다.
이전에 dell R740 2대를 포함한 고성능 서버환경 구축 외주를 진행하면서 렉설치, 워크스테이션 구성, 네트워크 구성 등의 방법은 많이 익혔는데 막상 개인 서버(고성능 서버)가 없어서 매번 업무의 불편함을 겪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관련지식 공부도 할 겸 워크스테이션 1대를 구매하게 되었다.
구축 준비 과정에서 다양한 분들의 도움을 받았는데, 서버 임대해주시는 분들과 친분이 생기게 되어 내가 운영하고 있는 2개의 동아리에 서버 임대를 지원받게 되기도 하였다.
목적 : fuzzing, 취약점 분석, web hosting, vm 환경 임대... + ( 해킹 실습 플랫폼 업로드, CTF 개최 )
정도로 목적이 정리되었다.
gpu서버는 따로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있어서, cpu 위주로 구성하려고 한다.
따라서 최소 2cpu를 생각하였으며, 가능하면 4cpu 구성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는 중국에서 커스터마이징한 x79 x99칩 메인보드를 저렴하게 구매하려고 하였으나 경험을 통한 앞으로의 기회를 생각한다면 hp, dell 사의 워크스테이션으로 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관련 사업을 하고있는 대표님께 전화를 걸어 상담해본 결과, 워크스테이션의 경우 연구목적으로 구매하였다가 단종되어 부품 수급이 힘들어져 경매/중고등으로 나오는 매물이 많고, 같은 이유에서 감가가 크다고 하셨다.
따라서 중고 연구용 워크스테이션을 구매하기로 결정하였고, 정부지원사업 관련하여 급하게 서버준비가 필요하여 해외 수급보다는 국내 유통을 알아보게 되었다.
이렇게 결정된 워크스테이션이 dell poweredge R730, R930 이었다.
R730의 경우 2CPU 구성이었으며 R930의 경우 4CPU 구성이었다. 중고 가격의 경우 각각 30만원 70만원 정도 하였다.
서버 목적에 따라서 저가형 2대를 선택하는 방향과 고가형 1대를 선택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었는데, 내 경우에는 하이엔드급 서버가 필요하였기에 R930 1대를 구매하기로 결정하였다.(아침 7시...)
CPU는 Xeon E7-8891 v3가 포함되어 있었다.
여기서 서버급 CPU 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하게 되었는데,
1. 인텔의 경우 Xeon(R)이라는 서버급 CPU 라인업이 있음
2. E3,E5,E7와 같은 Class가 존재
E3 - 소규모 서버용, i7과 성능이 비슷
E5 - 중~대형 서버용(개인+기업), 워크스테이션용 CPU, 2CPU 지원 시작
E7 - 대규모 서버용, 하이엔드급
3. 모델명의 천의 자리
멀티프로세서 구성이 가능한 CPU 수
4. 백의 자리
백의 자리는 CPU 소켓을 표시합니다.
1 - BGA 방식
2 - 일반 데스크탑용 소켓(LGA 1150, LGA 1151 등)
4 - LGA 1356, LGA 1356-3 소켓
5 - BGA 방식
6 - LGA 2011, LGA2011-3 소켓
8 - LGA 2011-1 소켓
5. 십의 자리
CPU 성능, 높을수록 성능이 좋아진다
6. 뒤에 붙는 알파벳
없음 - 일반
K - 배수락 해제
X - 익스트림 에디션
M - 모바일
U - 모바일 저전력
S - 저전력
T - 저전력
L - 저전력
Y - 초저전력
H - 모바일 고성능
MQ / QM - 모바일 쿼드코어
MX / XM - 모바일 익스트림
HQ - 모바일 고성능 쿼드코어
HK - 배수락 해제된 모바일 고성능
P - 내장그래픽 없음
DU - 모바일 저전력
R - Iris 내장그래픽 탑재
E - 임베디드
G - 인텔 CPU + 라데온 내장그래픽
F - 내장그래픽 없음
7. v1,v2,v3,v4
one of 식별자, 클 수록 좋음
이런 내용이 있었다.
들어가면 쉽게 성능비교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2.80GHz Xeon E7-8891 v3 가 4개 들어가므로 10코어 * 4 = 40코어 ( 80쓰레드 ) 구성이었다.
나쁘진 않은 구성이나, Xeon E7-8880 v4 4장으로 업그레이드 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Xeon E7-8880 v4의 경우 22코어 44쓰레드인 동시에 기본클럭 2.2에 터보클럭 3.3인 v4 CPU이다.
해당 CPU가 4장 장착되면 88코어 176쓰레드가 된다ㅎㅎ
파워서플라이의 경우 1100W 플래티넘 파워가 4개 들어가있었다.
이전 외주 작업을 진행하면서 리던던트(Redundant)파워를 다뤄보았는데, 이번엔 리던던트 파워가 2채널 들어간 형태였다.
**redundant power란 2개의 파워가 1개의 소스에 power를 공급하다가 하나의 파워가 다운될 경우, 나머지 하나가 서플라이 역할을 지속하여 서버의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power supply 방식이었다. 주로 1개의 소스를 UPS에 연결하고 나머지 1개를 220v 전원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였다. ( 나중에 UPS도 구축해야겠다 ㅎㅎ )
여기까지는 선택지가 크지 않아서 선택이 간단하였는데, 이 다음 부분부터가 매우 어려웠다...
파워까지 선택한 후, RAM 이 빠졌다는 것을 생각해냈고 서버에서는 ecc램을 사용한다는 정도만 알고 있었기에 중고장터에서 ecc램을 찾기 시작했다.( 아침 8시 )
그리고 잠깐 잠들었다.
reference : https://blog.naver.com/revenssy/221570431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