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STATION 구축]뻘짓진행 - RAID 구성
RAID란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의 약자로, 여러개의 물리 디스크를 하나의 볼륨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대용량의 하나의 볼륨으로 묶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는 점과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의 장점이 존재하여 서버 등 고도의 안정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안정성을 위해 포기해야하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저장공간 대비 가성비는 안좋아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그럼에도 대부분의 서버 레벨의 장비에서는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RAID 0~6이 있으며 Nested RAID 도 존재한다.
우선 RAID 0 의 경우,
구성된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할해서 저장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디스크라도 손상 될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가 손상되어 안정성이 매우 낮은 방식이다. ( 일반적으로 서버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
RAID 1 은 미러링이라고 하여, 구성된 디스크에 같은 내용이 저장된다. 따라서 하나의 디스크가 손상되어도 복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저장공간이 n배 줄어든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RAID 3 부터는 안정성과 효율을 둘다 가져가기 위한 방법을 채택한다.
n+1개의 데이터 디스크와 n개의 패리티 디스크로 구성된다. 따라서 1개의 디스크가 손상되어도 복구가 가능하다.
다만 현재에는 사용하지 않는 구성 방법이다.
RAID 3은 바이트단위로 스트래핑을 진행하며 패리티 디스크를 1개 두는 방식이다. 바이트 단위로 쪼개어져, 너무 작은 단위로 분리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RAID 4도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구성 방법이다. 블럭 단위의 스트래핑을 진행하며 1개의 패리티 디스크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RAID 4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이다. RAID 4에서는 패리티 디스크를 1개에 할당하여, 해당 디스크가 많은 빈도의 접근으로 인해 수명이 급격하게 줄어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패리티 저장 디스크를 매번 바꾸는 방식을 채택한 구성이다.
현재에 가장 많이 쓰이는 구성이라고 한다.
RAID 6의 경우, RAID 5 구성에서 공간 효율을 낮추고 안정성을 높힌 방식이다.
패리티의 수를 2개로 하여 안정성은 높혔으나, 공간은 그에 따라서 줄어든다. 저장 효율과 안정성은 아래에서 다시 정리하겠다.
이게 전부인 줄 알았으나, nested RAID가 있다고 한다. 어려운 내용은 아니고, RAID를 중첩해서 구성하는 방식이라고 한다.
크게 0+1, 1+0 두가지가 있는데,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였다.
0+1 : mirroring전에 striping을 진행하여 disk가 불량이 나면 그룹핑된 (RAID 0) 데이터 전체를 복구하여야 한다
1+0 : mirroring후에 striping을 진행하므로 미러링으로 묶인 하드를 통하여 손실된 데이터만을 복원할 수 있다
RAID 란?, RAID 구성방식(RAID 0, 1, 4, 5, 6, 1+0, 0+1)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혹은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의 약자로 말 그대로 RAID는 여러개의 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기술이다RAID는 Redundant Arra
velog.io
내 서버에 들어있는 RAID 카드는 PERC H730P (12Gb/s SAS, SATA, RAID) 제품으로
RAID 0,1,5,6 을 지원하는 카드라고 한다.
HDD를 여러장 구매해서 RAID 테스트를 해보고 싶으나, 아직 금전적인 문제로 SSD 4tb 1개만 구매하였기에 RAID 0으로 잡아주었다.
이렇게 하여 서버의 RAID구성을 마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