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WORKSTATION 구축]뻘짓진행 - RAM 종류

pwnhub 2024. 1. 25. 04:31

 

서버를 구축하면서 ddr4 ecc ram 384gb를 중고로 구매하였는데, 인식을 못하여 재당근하게 된 썰

 

ECC RAM을 구매하기 위해 왕복 2시간 거리를 운전해 다녀왔다. 160만원어치 램을 들고 복귀하였는데, 서버는 램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원인을 알아보다보니 RAM에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내용을 정리해보려 한다.

 

내가 구매한 램 :

samsung ddr4 ecc ram 3200

 

(내가 이해한) 서버가 요구하는 램 :

ddr3 or ddr4

3200도 ok

ecc ram

 

이었는데, 실제로 램의 종류로는 아래와 같은 것 들이 있다고 한다.

DIMM 분류

 

DIMM : 일반 ram

UDIMM : ECC (Unbefferd or Unregistered DIMM)

RDIMM : ECC + REG (Registered DIMM)

LRDIMM : ECC + REG + 데이터신호 제어 (Load Reduced DIMM)

NVDIMM : ECC + REG + 데이터신호 제어 + SSD기능

 

아래로 내려 올 수록 좋은(비싼)램이다.

ECC란 데이터 에러 정정 기능이고, REG란 메모리 간 슬롯 거리차이로 RAM 모듈간의 이동속도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신호왜곡을 방지하는 기능이라고 한다. 데이터신호 제어는 버퍼를 추가하여 데이터의 신호를 제어하는 기능이라고 한다.

기능에 따라 칩이 더 들어가며, 가격 또한 함께 올라간다.

 

ddr 에 따른 분류도 존재하였는데, ddr은 SDRAM -> DDR1 -> DDR2 -> DDR3 -> DDR4 로 발전하면서 대역폭이 2배씩 증가하였다고 한다. 속도도 그에 따라서 빨라졌으며 소비 전력은 감소하였다고 한다. ( 대충 좋아지는 흐름 )

 

이전 글에서 정리하였지만, dell poweredge r930에서는 32gb/64gb ram은 LRDIMM ram을 사용해야한다고 한다.

내가 사온 램은 RDIMM 64gb ram 이었기에 메인보드에서 인식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원인을 파악하기 이전에 삽질 했던 내용으로는 램 채널 구성이 있다.

4CPU 환경에 8개의 램 라이저 카드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최적 채널에 램을 구성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dell guide를 따라 설치하였는데, 관련 내용은 ram 을 추후에 더 사와서 작성하도록 하겠다.

 

 

 

 

 

ref : https://systemdesigner.tistory.com/12

 

메모리의 종류 (UDIMM, RDIMM, RLDIMM, NVDIMM)

서버 및 PC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CPU 그리고 메모리를 생각할 수 있는데 메모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PC에는 일반적으로 DIMM, UDIMM을 사용하게 되고 서버에서는 UDIMM, RD

systemdesigner.tistory.com